Cute Blue Flying Butterfly
본문 바로가기
알고리즘/BOJ

[Kotlin] BOJ 5430. AC

by jordancancode 2024. 8. 6.

출처
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5430

 

문제

선영이는 주말에 할 일이 없어서 새로운 언어 AC를 만들었다. AC는 정수 배열에 연산을 하기 위해 만든 언어이다. 이 언어에는 두 가지 함수 R(뒤집기)과 D(버리기)가 있다.

함수 R은 배열에 있는 수의 순서를 뒤집는 함수이고, D는 첫 번째 수를 버리는 함수이다. 배열이 비어있는데 D를 사용한 경우에는 에러가 발생한다.

함수는 조합해서 한 번에 사용할 수 있다. 예를 들어, "AB"는 A를 수행한 다음에 바로 이어서 B를 수행하는 함수이다. 예를 들어, "RDD"는 배열을 뒤집은 다음 처음 두 수를 버리는 함수이다.

배열의 초기값과 수행할 함수가 주어졌을 때, 최종 결과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
 

입력

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. T는 최대 100이다.

각 테스트 케이스의 첫째 줄에는 수행할 함수 p가 주어진다. p의 길이는 1보다 크거나 같고, 100,000보다 작거나 같다.

다음 줄에는 배열에 들어있는 수의 개수 n이 주어진다. (0 ≤ n ≤ 100,000)

다음 줄에는 [x1,...,xn]과 같은 형태로 배열에 들어있는 정수가 주어진다. (1 ≤ xi ≤ 100)

전체 테스트 케이스에 주어지는 p의 길이의 합과 n의 합은 70만을 넘지 않는다.

 

출력

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서, 입력으로 주어진 정수 배열에 함수를 수행한 결과를 출력한다. 만약,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error를 출력한다.

 

 

풀이

단순 구현문제. 구현해야 할 문제들을 순서대로 푼다.

그러나, 해당 문제의 시간 제한이 빡빡하다!

 

그러므로 다음과 같이 풀면 시간 초과가 발생한다...

reverse() 함수의 시간 복잡도가 O(n)이기 때문이다. 

import java.io.BufferedReader
import java.io.InputStreamReader
import java.util.LinkedList

fun main() {
    val br = BufferedReader(InputStreamReader(System.in))
    val T = br.readLine().toInt()
    repeat(T) {
        val p = br.readLine()
        val n = br.readLine().toInt()
        var x = input(br, n)
        var isError = false
        p.forEach {
            if (it == 'D' && x.size == 0) isError = true
            else {
                ac(it, x)
            }
        }
        if (isError) {
            println("error")
        }
        else {
            println(x)
        }
    }
}

fun input(br : BufferedReader, n : Int) : LinkedList<Int> {
    var result = LinkedList<Int>()
    var x = br.readLine()
    if (x.length > 2) {
        x = x.substring(1, x.length-1)
        val re = x.split(",").map { it.toInt() }
        re.forEach {
            result.offer(it)
        }
    }
    return result
}

fun ac(p : Char, x : LinkedList<Int>) {
    if (p == 'R') {
        x.reverse()
        return
    }
    else if (p == 'D') {
        x.pollFirst()
        return
    }
}

 

 

수정본으 나중에 올리겠다!!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