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ute Blue Flying Butterfly
본문 바로가기
CS

[CS]네트워크 - 처리량, 지연 시간

by jordancancode 2024. 11. 9.

네트워크

노드(Node)와 링크(Link)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, 리소스를 공유하는 집합

  • 노드: 서버, 라우터, 스위치 등 네트워크 장치
  • 링크(엣지): 유선, 또는 무선과 같은 연결 매체(와이파이, LAN)

컴퓨터(노드)로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해 LAN, 와이파이를(링크) 써서 서버(노드)와 접속하는 것을 생각해보자.

 

트래픽

특정 시점에 링크에 흐르는 데이터의 양
ex) 서버에 저장된 파일을 클라이언트가 다운로드 시 발생되는 데이터의 누적량
 

트래픽과 처리량의 차이

  • 트래픽: 흐르는 데이터의 양
  • 처리량: 처리되는 트래픽

처리량

링크 내에서 성공적으로 전달된 데이터의 양, 얼마 큼의 트래픽을 처리했는지!
많은 트래픽 = 많은 처리량

  • 처리량은 사용자들이 많이 접속할 때마다 커지는 트래픽, 네트워크 장치 간의 대역폭, 네트워크 중간에 발생하는 에러, 장치의 하드웨어 스펙에 영향 O

대역폭

주어진 시간 동안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흐를 수 있는 최대 비트 수, 최대로 처리할 수 있는 트래픽
 
 
버블티를 생각해 보자.(나는 버블티를 좋아하진 않지만...)
 
빨대 = 링크
먹고 있는 동안 빨대 속에 들어있을 타피오카 펄의 개수 = 트래픽
내가 먹은 타피오카 펄의 개수 = 처리량
빨대의 두께 = 대역폭

 

라고 생각하면 된다.
빨대의 두께가 넓을수록 더 큰 타피오카 펄도 먹을 수 있을 것이다.(트래픽이 커짐)
근데!! 빨대 두께가 일반 두께다?? 그럼 펄을 제대로 못 먹는 슬픈 사태가...(이게 트래픽 지연)
내가 빨리 먹으면 20초 만에 저 컵 속의 펄을 다 먹을 수 있을 것이다.(처리량이 많음)

빨대가 두꺼울 수록 큰 펄도 먹을 수 있지만, 작으면 오른쪽과 같은 작은 펄을 먹어야 한다.

RTT

Round Trip Time(왕복 지연시간), 신호를 전송하고 해당 신호의 수신 확인에 걸린 시간을 더한 값, 어떤 메시지가 두 장치 사이를 왕복하는 데 걸린 시간.
cmd에 다음과 같이 입력해 보자.

ping google.com

 

 
나의 RTT를 볼 수 있다.

반응형